'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14건
- 2020.07.24 war3
- 2012.08.01 KAL858기 폭파 관련 자료 수집 2
- 2012.07.09 VIM Tips 2
- 2012.03.25 USB 부팅 디스크 만들기 3
- 2012.03.20 개발자 툴킷 랭킹 2
- 2012.03.10 필요한 자료
- 2012.03.06 인물 2
- 2012.03.06 가보고 싶은 곳 2
- 2012.03.01 정치적인 이슈 사항들 2
- 2012.03.01 하늘 보기 좋은 곳 1
2012. 8. 1. 07:24 카테고리 없음
KAL858기 폭파 관련 자료 수집
1987년 사건이기 때문에 나도 그 당시 TV나 신문으로 본적이 있는 사건이다. 그 때야 정치적인 사건들에 대해 이해가 없었던 시절이라 그냥 TV나 신문에서 하는 말고 가족들간의 대화를 통해서 내용을 파악을 했지만, 지금에서야 생각해 보면 참 희안하다. 그때가 대통령 선거 바로 전이라고 했던가... 아무튼 지금 생각에는 대한 항공의 부실 관리에 의한 항공기 폭파 사고를 대통령 선거에 맞춰 정부가 조작한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이 사건이 천안함 사건과 그대로 겹쳐지는 것은, 역시 역사는 돌고 도는 것이다. 위정자들이 자신들의 탐욕을 위해서 세상의 룰을 바꾸는 것은 옛날이나 지금이나 인간사의 기본 성질인 것 같다.
그래서 일단은 KAL기 사건 관련 몇 가지 자료를 조합을 해 본다. 인터넷에 찾아 보면 많은 현상들이 있을텐데, 개인적인 관심사로 그때그때 자료나 링크를 적어 둔다.
1. KAL858기가 북한에 의한 폭격이 되었음에도 영국 로이드 보험사로부터 보험금을 신청하지 않은 것으로 보임
- 2005년 희생자 유가족이 대한항공에 대해 보험 청구에 대한 자료를 요청했음에도 불구하고 묵묵 부답임
- 참고 링크 : http://www.seoprise.com/board/view.php?table=seoprise_13&uid=131727
- 이건 누가 보더라도 정부나 대한 항공이 보험사의 조사를 피하려는 술책이다. 왜?? 당근,,, 북한의 폭격은 거짓말이니까.
다른 분이 쓰신게 있어서 이것 기반으로 정리하려고 합니다.
일단 아래 원본은 http://blog.daum.net/mahabreaker/3 이 분입니다.
0. 설정
:scriptnames vim 이 구동시 읽어 들이는 파일의 목록표시
:set ff=dos[unix] 문서 포맷을 설정
1.시작
vi file vi를 시작하여 지정한 파일 편집
vi -R file 읽기 전용(read- only) 편집기로서 vi를 시작하여 지정한 파일 편집
view file 읽기 전용(read- only) 편집기로서 vi를 시작하여 지정한 파일 편집
2.종료
:wq 데이터를 저장하고 종료
:q!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종료
3. 디스플레이 제어하기
^L 현재 화면을 다시 디스플레이하기
:set number 내부 줄 번호 디스플레이
:set nonumber 배부 줄 번호 디스플레이 않기
:vs 창을 세로로 분할하기
:sp 창을 가로로 분할하기
:se list 개행문자, tab문자 등을 화면에 표시
:se nolist 개행문자, tab 문자 등 표시 해제
4. 마지막으로 지운 것 복사하기
p 마지막으로 지워진 것을 커서의 뒤/아래에 삽입
P 마지막으로 지워진 것을 커서의 앞/위에 삽입
xp 두 문자를 바꿈
deep 두 단어를 바꿈
ddp 두 줄을 바꿈
## 만약 yy로 복사한 라인을 p로 붙인다면 커서의 위치에 붙여진다.
5. 패턴 검색
/rexp 지정된 정규 표현식에 대해 앞으로 이동
/ 이전의 패턴에 대해 앞으로 검색을 반복
?rexp 지정된 정규 표현식에 대해 뒤로 이동
? 이전의 패턴에 대해 뒤로 검색을 반복
n /나 ?명령에 대해 같은 방향으로 반복
N /나 ?명령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반복
6. 약어의 사용
:ab short long short를 long에 대한 약어로 변경
:ab 현재 약어 목록을 표시
:una short 약어 short를 표시
7. 줄 길이의 조정
r<Return> 문자를 뉴라인으로 변경
J 아랫줄을 현재줄의 끝에 붙인다.
:set wm=n 오른쪽으로 n문자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줄 나눔
8. 커서 이동
h<Left> 커서를 한 칸 왼쪽으로 이동
j<Down> 커서를 한 줄 아래로 이동
k<Up> 커서를 한 줄 위로 이동
l<Right> 커서를 한 칸 오른쪽으로 이동
<Backspace> 커서를 한 칸 왼쪽으로 이동
<Space> 커서를 한 칸 오른쪽으로 이동
- 커서를 이전 줄의 처음으로 이동
+ 커서를 다음 줄의 처음으로 이동
<Return> 커서를 다음 줄의 처음으로 이동
0 커서를 현재 줄의 맨 앞으로 이동
$ 커서를 현재 줄의 맨 끝으로 이동
^ 커서를 현재 줄의 첫글자(공백이나 탭이 아닌)로 이동
w 커서를 다음 단어의 첫 글자로 이동
e 커서를 다음 단어의 끝 글자로 이동
b 커서를 이전 단어의 첫 글자로 이동
W w와 같음(문장 부호 무시)
E e와 같음(문장 부호 무시)
B b와 같음(문장 부호 무시)
( 다음 문장의 처음으로 이동
) 이전 문장의 처음으로 이동
{ 다음 문단의 처음으로 이동
} 이전 문단의 처음으로 이동
H 커서를 화면 맨 위로 이동
M 커서를 중간으로 이동
L 커서를 맨 아래로 이동
gg : 문서의 처음으로
shift + g : 문서의 마지막으로
9. 편집 버퍼를 통한 이동
^F 한 화면 아래로 이동
^B 한 화면 위로 이동
n^F n화면 아래로 이동
n^B n화면 위로 이동
^D 반 화면 아래로 이동
^U 반 화면 위로 이동
n^D n줄만큼 아래로 이동
n^U n줄만큼 위로 이동
10. 셸 명령 실행
:!command vi를 중단하고 지정한 셸 명령을 실행
:!! vi를 중단하고 이전의 셸 명령을 실행
:sh vi를 중단하고 셸을 실행
:!csh vi를 중단하고 새로운 C-셸을 실행
11. 패턴에 의한 치환
:s/pattern/replace/ 현재 줄의 치환
:lines/pattern/replace/ 지정한 줄의 치환
:line,lines/pattern/replace/ 지정한 범위의 치환
:%s/pattern/replace/ 모든 줄의 치환
## 팁하나 더
정규표현식중에 일정 부분을 메모리로 지정하여 기억해 놓을 수 있다.
(..),(..) <<-- 이렇게 괄호로 묶어 놓은 부분이 각각 1번 2번으로 저장되어진다.
예를들어,
1) ab,cd 를 cd,ab 와 같은 형태(포맷)로 바꾸고 싶을때는.....
=> %s/\(..\),\(..\)/\2,\1/g
2) a1b2c3d4e5f, xxba, 123 에서 두번째 , 이후의 문자열을 삭제하고 싶을때는......
=> %s/,\(.*\),.*/,\1,/g
와 같이 하면 된다
12. 데이터 읽기
:liner file file의 내용을 지정한 줄 다음에 삽입
:r file file의 내용을 현재의 줄 다음에 삽입
:liner !command command의 결과를 지정한 줄 다음에 삽입
:r !command command의 결과를 현재의 줄 다음에 삽입
:r !look pattern 지정한 pattern으로 시작된 단어 삽입
13. 정규 표현식을 사용하기 위한 특수 기호
. 뉴라인을 제외한 모든 단일 문자와 대응
* 영개이상의 선행 문자와 대응
^ 줄의 시작을 표현
$ 줄의 끝을 표현
\< 단어의 시작과 대응
\> 단어의 끝과 대응
[ ] 묶여진 문자중의 하나와 대응
[^ ] 묶여진 문자를 제외한 아무것하고나 대응
\ 이어지는 기호를 문자 그대로 해석
^I 탭문자 (ctrl+v, ctrl+I (대문자 아이) 로 타이핑)
14. 줄 번호
nG 줄번호 n으로 건너뛰기
1G 편집 버퍼의 첫 줄로 건너뛰기
G 편집 버퍼의 마지막 줄로 건너뛰기
:map g lG g가 lG와 같도록 매크로 정의
15. 삽입
i 입력 모드로 전환, 커서 위치 앞에서 삽입
a 입력 모드로 전환, 커서 위치 뒤에서 삽입
I 입력 모드로 전환, 현재 줄의 앞에 삽입
A 입력 모드로 전환, 현재 줄의 끝에 삽입
o 입력 모드로 전환, 현재 줄의 아래에 전개
O 입력 모드로 전환, 현재 줄의 위에 전개
16. 편집하고 있는 파일을 바꾸기
:e file 지정한 파일의 편집
:e! file 지정한 파일의 편집, 자동 점검의 생략
17. 내용 고치기
r 단지 한 글자만 변경(입력 모드로 바뀌지 않음)
R 입력하는 대로 겹쳐 써서 변경
s 삽입에 의해 한 단어의 변경
C 커서의 위치로부터 줄 끝까지 삽입에 의한 변경
cc 전체 줄을 삽입에 의한 변경
S 전체 줄을 삽입에 의한 변경
cmove 커서부터 move까지 삽입에 의해 변경
~ 대,소문자 바꾸기
18. 고치기의 취소 또는 반복 (Undo, Redo, Repeat)
u 편집 버퍼를 수정했던 마지막 명령을 취소
U 현재 줄을 저장
. 편집 버퍼를 수정했던 마지막 명령 반복
ctrl+r 취소한것을 취소
19. 문자 삭제
x 커서가 있는 문자 삭제
X 커서의 왼쪽 문자 삭제
D 커서부터 줄의 끝까지 삭제
dd 현재 줄의 전체 삭제
dmove 커서부터 move까지 삭제
dG 커서부터 편집 버퍼의 끝까지 삭제
d1G 커서부터 편집 버퍼의 맨 앞까지 삭제
:lined 지정한 줄의 삭제
:line, lined 지정한 범위의 삭제
shift + d : 현재 커서 위치부터 현재라인의 마지막까지 삭제
shift + j : 현재행의 개행문자를 삭제한다(아래라인을 현재 라인 뒤에 붙인다)
20. 여러 줄의 복사와 이동
:linecotarget 지정한 줄을 복사하여 target 줄 밑에 삽입
:line, linecotarget 지정한 범위를 복사하여 target 줄 밑에 삽입
:linemtarget 지정한 줄로 이동하여 target 줄 밑에 삽입
:line, linemtarget 지정한 범위로 이동하여target 줄 밑에 삽입
블록지정모드(노말) : v
블록지정모드(라인) : shift+v
블록지정모드(사각형) : ctrl + q
선택블록 복사 : y
선택블록 붙여넣기 : p
21.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셸 명령의 사용
n!!command n번 줄에서 command의 실행
!move command 커서부터 move까지 command 실행
!move fmt 커서부터 move까지 줄들을 형식 맞추기
22. 데이터 저장하기
:w 원래의 파일로 데이터를 저장
:w file 지정한 파일로 데이터를 저장
:w>> file 지정한 파일에 데이터를 추가
23. Auto Complete
Ctrl+P match previous tokens
Ctrl+N match tokens ahead/next
= Auto Indent
23. VIM 인코딩
VI: 유니코드(UTF-8)로 인코딩 전환
VIM은, BOM(Byte Order Mark) 이 있는 UTF-8 파일은 자동으로 인식하지만, BOM이 없으면 인식하지 못하고 파일 속의 한글이 깨집니다. 이때는 다음과 같이 인코딩을 수동으로 전환해 주면 됩니다.
* 현재 편집중이라면 키보드의 Esc키를 누릅니다.
* 콜론(:) 키를 눌러, 명령어 모드로 들어갑니다.
* se enc=utf8 이라고 입력합니다. 그러면 UTF-8 파일의 한글이 정상적으로 보일 것입니다.
VI: 한글 완성형(euc-kr)으로 인코딩 전환
만약 Vim이 한글 완성형 파일을 인식하지 못하고, 한글이 깨진다면 다음과 같이 합니다.
se enc=cp949
또는
se enc=korea 라고 입력합니다.
## 참고로 현재 vim 의 설정상황을 보려면 set 명령을 통해 볼 수 있다.
file의 인코딩을 utf-8 로 지정하고 싶다면 se fileencoding=utf-8 명령을 내려주고 저장하면 된다.
## 현재 열린 문서의 encoding 을 알고 싶다면 :set enc 를 입력한다.
24. 문제 해결
* 한글메뉴 깨짐
" set enc=utf-8 "
항목을 넣으면 gVim 의 한글 메뉴가 깨진다. 이럴땐 이 항목을 _vimrc 의 맨 첫번째 라인으로 올려보라. 그러면 제대로 나올 것이다.
또는, 이 항목이 중간에 있더라도 아래와 같은 설정을 추가해 주면 제대로 표시된다.
" vim 7.2, windows
"lang en
"source $VIMRUNTIME/delmenu.vim
"set langmenu=ko.UTF-8
"source $VIMRUNTIME/menu.vim
" vim 7.3, windows
let $LANG = 'ko_KR.UTF-8'
source $VIMRUNTIME/delmenu.vim
source $VIMRUNTIME/menu.vim
25. 기타
- 외부 text processing tool을 이용해서 현재 editing하는 텍스트 처리 후 그 결과 display
ex) 현재 text에 대해 grep command를 실시
:%!grep slack
2012. 3. 25. 08:28 카테고리 없음
USB 부팅 디스크 만들기
* 김진표
김진표 의원은 노무현 정부 초대 경제부총리에 취임하면서 일성으로 법인세 인하를 내놓았다가 여론의 반발에 밀려 철회하면서 재벌개혁을 포기하겠다는 신호를 분명히 줬다. 그는 또한 노무현 정부 초기 부동산대책에서 민간도 아닌 주택공사의 분양원가를 공개해달라는 요구를 '사회주의적 조치'라며 뿌리쳤다. 골프장 무더기 건설 등 부동산경기 부양책도 함께 추진했다. 이후 교육부총리로서 국립대 법인화에 시동을 걸었고, 사립대들의 등록금 인상 경쟁을 방조했다. 열린우리당 정책위의장 시절에는 한미FTA 추진을 적극 주도했다.
정권이 바뀌고 나서도 김 의원은 그 행태를 반성할 줄 몰랐다. 민주당의 원내대표로서 그는 KBS 수신료 인상안을 일방적으로 한나라당과 합의했다가 질타를 받았는데도 한미FTA 비준과 관련해서도 여당과 합의문을 작성했다가 거센 비판을 받았다. 그러고도 한 신문과 한 인터뷰에서 '당내 강경파의 주장은 쇼'라는 적반하장식의 태도를 보였다. 지난 연말에는 외환은행 매각에 대한 국정조사 추진을 포기한 채 국회 등원을 주도했다.
* 재성호 중앙대 교수
* 송태호 카이스트 교수
2. http://media.daum.net/photo/newsview?newsid=20120307000612052 : 봄 맞이 꽃놀이 장소
2012. 3. 1. 18:32 카테고리 없음
정치적인 이슈 사항들
2012. 3. 1. 17:41 카테고리 없음